1. 토큰화(Tokenization) 정의
토큰화(tokenization)란 코퍼스를 의미있는 작은 단위로 나누는 작업입니다.
- Vocab에 없는 단어일 경우 음절(character) 단위로 나눠지며, 음절도 Vocab에 없을 경우 Unknown token으로 처리됩니다.
2. 가장 간단한 토큰화 방법
간단한 토큰화 방법으로 특수문자 및 구두점 제거하고 공백(whitespace)을 기준 토큰화(Word Tokenization)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입력: Time is an illusion. Lunchtime double so!
출력 : "Time", "is", "an", "illustion", "Lunchtime", "double", "so"
이 방법은 온점(.)이 문장의 경계가 아닌 $45.55 같은 경우 문제가 발생합니다. 또한 특수문자 $는 화폐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입력: What're your doing
출력 : "What", "re", "your", "doing"
아포스트로피('), 즉 압축된 단어도 고려가 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re를 접어(clitic)이라고 합니다.
Library Info
- from nltk.tokenize import word_tokenize
- from nltk.tokenize import WordPunctTokenizer
- from tensorflow.keras.preprocessing.text import text_to_word_sequence
3. 문장 토큰화(Sentence Tokenization)
코퍼스를 문장 단위로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 영어 문장 토큰화: NLTK - sent_tokenize
- 한글 문장 토큰화: KSS
4. 이진 분류기(Binary Classifier)
온점의 처리를 위해서 입력에 따라 두 개의 클래스로 분류하는 이진 분류기(binary classifier)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온점(.)이 약어(abbreivation)로 쓰이는 경우(온점이 단어의 일부분)
- 온점(.)이 문장의 구분자(boundary)일 경우
5. 한글에서의 토큰화의 어려움
한글은 교착어입니다. 교착어란 조사, 어미 등을 붙여서 말을 만드는 언어를 말합니다.
한글에서 띄어쓰기가 되어 있는 단위를 어절이라고 하는데 한글은 어절이 독립적인 단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조사 등의 무언가가 붙어있는 경우가 많아서 이를 전부 분리해줘야 합니다.
한글을 토큰화 하기 위해서는 형태소(morpheme)란 개념을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형태소(morpheme)란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말합니다.
한글을 토큰화 하기 위해서는 형태소(morpheme)란 개념을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형태소(morpheme)란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말합니다.
- 자립 형태소 : 접사, 어미, 조사와 상관없이 자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소로 그 자체로 단어가 됨
-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관형사, 부사), 감탄사 등
- 의존 형태소 :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형태소
- 접사, 어미, 조사, 어간를 말한다.
예)
문장 : 에디가 딥러닝책을 읽었다
자립 형태소 : 에디, 딥러닝책
의존 형태소 : -가, -을, 읽-, -었, -다
6. 품사 태깅(Part-of-speech tagging)
NLTK와 KoNLPy를 이용한 영어, 한국어 토큰화 실습 내용입니다. NLTK에서는 Penn Treebank POS Tags라는 기준으로 합니다.
- PRP - 인칭 대명사
- VBP - 동사
- RB - 부사
- VBG - 현재부사
- IN - 전치사
- NNP - 고유 명사
- NNS - 복수형 명사
- CC - 접속사
- DT - 관사
KoNLPy를 사용해서 형태소 분석을 합니다. KoNLPy의 형태소 분석기로는 Okt(Open Korea Text), 메캅(Mecab), 코모란(Komoran), 한나눔(Hannanum), 꼬꼬마(Kkma)가 있습니다.
- morphs : 형태소 추출
- pos : 품사 태깅(Part-of-speech tagging)
- nouns : 명사 추출
감사합니다.
Reference: https://wikidocs.net/21698
Reference: https://wikidocs.net/21698
댓글
댓글 쓰기